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체거래소(ATS)란? 개념과 영향, 도입 전망

by 송송s 2025. 3. 4.
반응형

대체거래소 개념 영향 도입 전망

1. 대체거래소(ATS)란?


대체거래소(Alternative Trading System, ATS)는 기존의 증권거래소(KRX)와 별도로 운영되는 주식 거래 플랫폼을 의미합니다. 기존의 한국거래소(KRX)와 같은 중앙거래소와 달리, 민간 기업이 운영하는 비전통적 거래소로 볼 수 있습니다. 

 

미국, 일본, 유럽 등에서는 이미 활성화된 시스템으로, 다양한 금융상품의 거래가 가능하며, 투자자에게 더 많은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24년 이후 대체거래소 도입이 추진되고 있으며, 금융당국과 관련 기관이 제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기존 거래소의 독점 구조를 깨고 경쟁을 도입함으로써 투자자들에게 더 나은 거래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2. 대체거래소의 주요 특징


① 기존 거래소와의 차이점


기존의 한국거래소(KRX)는 국내 유일의 주식거래소로서 독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대체거래소는 민간이 운영하는 별도의 거래 시스템으로, KRX와 경쟁하는 형태입니다.

기존 거래소에서는 일정한 규칙과 체계적인 운영이 이루어지지만, 대체거래소는 보다 유연한 거래 방식과 다양한 수수료 정책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② 전자거래 기반 운영


대체거래소는 대부분 전자거래를 기반으로 운영되며, 알고리즘을 활용한 빠른 주문 처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다크풀(Dark Pool) 기능을 제공하여 대량 주문을 은밀하게 처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③ 낮은 거래 비용


기존 거래소보다 낮은 수수료를 책정하는 경우가 많아, 투자자들에게 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합니다.

증권사와 협업하여 주문을 직접 처리하는 구조를 채택할 수도 있습니다.

 


④ 거래 가능한 상품 다양화


기존 거래소에서는 상장 주식과 파생상품을 거래하지만, 대체거래소에서는 채권, 비상장 주식, 가상자산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

 


3. 해외 대체거래소 사례


① 미국: ECN과 다크풀 활성화


미국에서는 1990년대부터 대체거래소가 등장했으며, 대표적으로 나스닥(Nasdaq), BATS, IEX, 다크풀(Dark Pool) 등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특히 다크풀은 기관투자자들의 대량 주문을 익명으로 처리하여 시장 충격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② 일본: PTS(Private Trading System)


일본은 J-Market, Chi-X Japan 등의 대체거래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인 투자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수수료 인하와 서비스 개선이 이루어졌습니다.

 


③ 유럽: MTF(Multilateral Trading Facility) 활성화


유럽에서는 MTF라는 형태의 대체거래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Turquoise, Chi-X Europe 등이 있습니다. 

 

유럽연합(EU)에서는 MiFID 규제를 통해 공정한 경쟁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4. 대체거래소 도입의 기대 효과


① 거래 경쟁 활성화 및 수수료 절감


현재 한국거래소가 독점적으로 운영되다 보니 거래 수수료가 고정적이고, 경쟁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대체거래소가 도입되면 거래소 간 경쟁이 발생하여 수수료가 낮아지고, 투자자들에게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가능성이 큽니다.

 


② 거래 속도 및 효율성 향상


대체거래소는 전자거래 시스템을 활용하여 빠른 거래 처리가 가능하며, 알고리즘 기반의 주문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거래 체결 속도가 향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③ 새로운 금융상품 거래 가능


기존 KRX에서는 다루지 않는 다양한 금융상품(비상장 주식, 채권, ETF, 가상자산 등)을 거래할 수 있어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투자 기회를 제공합니다.

 


④ 기관 투자자의 유입 증가


대체거래소에서는 기관투자자들이 대량 거래를 보다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다크풀과 같은 기능을 활용하여 시장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5. 대체거래소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점

 

① 투자자 보호 장치 필요


대체거래소가 다수 운영되면 주문이 분산될 가능성이 있으며, 체결되지 않는 주문이 많아질 수도 있습니다.

불공정 거래를 방지하기 위한 규제 및 투자자 보호 장치가 필요합니다.

 


②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


대체거래소가 KRX와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 보완이 필요합니다.

기존 거래소와의 지나친 경쟁으로 시장이 혼란스러워질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③ 유동성 확보 문제


대체거래소가 충분한 거래량을 확보하지 못하면 투자자들에게 큰 매력이 없을 수 있습니다.

증권사 및 기관 투자자들과의 협력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국내 대체거래소 도입 전망


현재 한국에서는 대체거래소 도입이 검토되고 있으며, 금융당국은 경쟁을 촉진하고 투자자들의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5년 이후 본격적인 운영이 예상되며, 다크풀 기능 및 해외 시장과의 연계 등 다양한 서비스가 도입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 한국거래소의 독점 구조가 강한 만큼, 대체거래소가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규제 완화, 유동성 확보, 투자자 보호 등의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할 것입니다.

 


7. 결론


대체거래소는 기존 증권거래소의 독점을 완화하고, 거래 비용 절감과 투자 기회 확대를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해외에서는 이미 활성화된 시스템이며, 한국에서도 도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다만, 공정한 경쟁과 투자자 보호를 위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며, 유동성 확보를 위한 전략도 중요합니다.

향후 대체거래소가 도입되면 주식 시장에 큰 변화가 예상되며, 투자자들에게 더 다양한 기회가 제공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응형